주요일정
일시 | 내용 | 비고 |
---|---|---|
8월 27일(목) | 2020년도 한국농림기상학회 연차 학술대회 2020 Annual Conference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| |
12:30~13:00 | 등록 | |
13:00~13:50 | 개회 선언 및 환영사 -임종환(한국농림기상학회장) 제21차 정기총회 | |
SPECIAL SESSION : 농림기상학의 DNA(Data-Network-AI) DNA(Data-Network-AI) in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좌장: 김광수(서울대학교) | ||
14:00~14:40 | 1. Deep learning for multi-year ENSO forecasts -함유근(전남대학교) | |
14:40~15:00 | 2. 끝자락에 선 농림기상학 -김 준(서울대학교) | |
구두 발표(ORAL) | ||
15:15~16:30 | SESSION I : 농림생태계 빅데이터의 생산 및 활용 Production and Use of Big Data in Agricultural and Forest Ecosystems 좌장: 심교문(국립농업과학원) | |
1. 산악기상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실시간 고해상도 산악기상정보 개발 -김홍희(유한회사 나노웨더) 2. 소기후모형을 적용한 고해상도 농업기상정보 생산기술 개발 -김대준((재)국가농림기상센터) 3. 농장다위 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의 광역단위 실증 연구 -심교문(국립농업과학원) 4. 기계학습 방법을 이용한 농업지역 3m 풍속 예측 -민병훈(국립기상과학원) 5. 과정기반모형을 활용한 우리나라 봄철 개화 수종 7종의 개화일 예측과 수종별 광주기 반응성 비교 -김수경(서울대학교) 6. NIRv를 활용한 국가 규모의 작물 수확량 추정 -이승준(서울대학교) | ||
16:30~16:45 | 휴식 | |
구두 발표(ORAL) | ||
15:15~16:30 | SESSION Ⅱ : 빅데이터를 활용한 농림생태계 변화 예측 Prediction of Change in Agricultural and Forest Ecosystems using Big Data
좌장: 김규랑(국립기상과학원) | |
1. 꽃가루 관측에서 예보모델까지 -김규랑(국립기상과학원) 2. 위성영상을 이용한 우리나라 온대림의 개엽 열특성 지도 생산 및 온도 의존성 평가 -조낭현(강원대학교) 3. 위성영상을 이용한 중앙아시아의 식생 변동 및 기후 요인과의 관계 분석 -Casimir Agossou(강원대학교) 4. 탄소소지와 그 경년변동 분석으로 살펴 본 광릉 낙엽활엽 노령림의 시스템 상태의 변화 -양현영(서울대학교) 5. 국가산림자원조사를 이용한 산림의 개체목 단위 고사율과 진계생장률 추정 -류다운(서울대학교) 6.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따른 청경채의 양적 및 질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-한영종(국립기상과학원) |
일시 | 내용 | 비고 |
---|---|---|
8월 28일(목) | 2020년도 한국농림기상학회 연차 학술대회 2020 Annual Conference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| |
포스터 발표(POSTER) 좌장: 김현석(서울대학교), 김광수(서울대학교) | ||
10:00~11:50 | 포스터 발표 - 총 52편 SESSION I : 농림생태계 빅데이터의 생산 및 활용 (P-01 ~ P-10) SESSION Ⅱ : 빅데이터를 활용한 농림생태계 변화 예측 (P-11 ~ P-27) SESSION Ⅲ: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후변화 영향 평가 (P-28 ~ P-38) SESSION Ⅳ: 농림생태계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(P-39 ~ P-52) | |
12:00~13:00 | 점심식사 | |
구두 발표(ORAL) | ||
13:00~14:00 | SESSION Ⅲ: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후변화 영향 평가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al and Forest Ecosystems using Big Data 좌장: 김대준(국가농림기상센터) | |
1. 산림식물계절의 변화: 산악기상망을 활용한 기후변화 영향 분석 -이보라(국립산림과학원) 2. 형태적, 생리적, 생화학적 특성에 기초한 다섯 가지 활엽 조림수종과 여섯 가지 침엽 조림수종의 가뭄 저항성 -Narayan Bhusal(서울대학교) 3. 계절적 가뭄에 의한 소나무림의 증발산 및 물 이용 효율 특성 분석 -민성현(국립산림과학원) 4. 다중모형 앙상블을 활용한 농경지 양분유출 기후변화 영향평가 방법론 설계 -최순군(국립농업과학원) 5. 한국 김제의 벼 경작 시스템의 기후스마트농업 기반의 평가 -Mohammad Samiul Ahsan Talucder(실렛농업대학교) 6. 품종 모수 추정을 위한 DSSAT GLUE의 개선 -현신우(서울대학교) | ||
14:00~14:15 | 휴식 | |
14:15~15:15 | SESSION Ⅳ: 농림생태계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Construction of Databases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and Forest Ecosystems 좌장: 강민석(국가농림기상센터) | |
1. 환경방사선 감시 고도화 -윤주열(한국원자력연구원) 2. 에디 공분산 기술을 이용한 수도권매립지에서 배출되는 메탄과 이산화탄소 플럭스 관측 -강민석(국가농림기상센터) 3. 에디 공분산을 이용한 인접 잣나무림과 참나무림의 가뭄에 따른 탄소교환량과 생태계 회복력 비교 연구 -이호진(서울대학교) 4. 작물모형 개선을 위한 지역적응시험 자료의 정량적 품질 평가 -현신우(서울대학교) 5. MODIS 자료 처리 도구 활용을 위한 Singularity 컨테이너의 도입 -유병현(서울대학교) 6. 유효적산온도모형 활용한 애멸구 초발일 계절전망 생산 및 활용성 평가 -김광형(APEC기후센터) | ||
15:15~15:45 | 시상 및 폐회식 |